2022년 하반기 마지막 정부지원금 꼭 받아가세요 (+지원금 총정리)
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
혼자 거주하는 저소득 청년들의 월세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
지원대상
만19세 ~ 34세 청년
혼자 거주하는 무주택자
본인 소득 중위소득 60% 이하
(월 소득액 116만 원 이하, 재산 1억 700만 원 이하)
부모님 소득 중위100% 이하
(3인 가구 기준 월 419만 원 이하, 재산 3억 8000만 원 이하)
연소득 1400만 원 이하
신청방법
행정복지센터 방문 접수
필수 서류 : 신청서, 소득재산 신고서, 임대차계약 증빙서류, 월세 계약 이체증,
본인 통장 사본, 가족관계증명서, 주민등록증
혜택
월 20만 원 최대 12개월간
총 240만 원 월세 지원
청년 마음건강 바우처
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성담 서비스등 활용할 수 있는 바우처 제공
지원대상
만 19세 ~ 34세 청년
본인 부담금 10%
신청방법
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신청
신청 승인 후 신분증 및 구비서류 지참하여 상담소 방문
혜택
월 20만 원 씩 3개월간 총 60만 원
청년 내일 저축 계좌
차상위 계층을 지원하는 제도였던 '청년 저축 계좌'를 소득이 낮은 청년들도 받을 수 있게 새롭게 개편
지원대상
만 19세 ~ 34세 청년
(차상위자, 수급자의 경우 만 15~39세)
근로자 및 중위소득 100% 이하
1인 가구 약 194만 원, 2인 가구 약 326만 원
연소득 2400만 원 이하
신청방법
주민등록지 읍,면,동 주민센터 방문
청년 취업 지원금
청년들을 위한 구직 촉진 수당 조건이 완화되고 선발 규모도 더욱 확대 됨
지원대상
만19세 ~ 34세 청년 구직자
중위소득 120%이하, 취업 경험이 없어도 가능
총재산 4억 원 이하
연 소득 2800만 원 이하
(최근 2년간 또는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의 취업 경험 필요)
혜택
월 50만 원 6개월간 최대 총 300만 원 지원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
납입액의 40% 소득공제 받으면서 원금과 투자 수익까지 챙겨갈 수 있는 펀드
지원대상
만19세~34세 청년 근로자
연간 납입 한도 최대 600만 원
3~5년 만기 설정 가능
연봉 5000만 원 이하
신청방법
미래에셋증권, 하나금융 투자에서 신청 가능
혜택
3년 만기 수령 시 원금+투자 수익+ 최대 720만 원 소득 공제
청년전용 보증부 월세 대출
보증금 3500만 원, 월세 50만 원 까지 저렴한 이율로 대출 가능
지원대상
만19시 ~ 34세 청년, 무주택 세대주 대상
배우자 합산 소득 연 5000만 원 이하
혜택
보증금 대출 이자 연1.3%
월세 20만 원 한도 내 무이자
청년 맞춤형 전세대출
버킴목, 중기청 전세대출보다 조건이 덜 까다롭고 만 34세가 될 때 까지 연장 가능한 전세대출
지원대상
만19세 ~ 34세 청년, 무주택 세대주 대상
배우자 합산 소득 연7000만 원 이하
순 자산액 2.92억 이하, 보증금 5% 이상 지불
혜택
보증금90% 이내
최대 1억 원까지 연 2.2%금리로 대출 가능